만화로 나누는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이야기

Comics about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Menu

Skip to content
  • Home
  • About

Category Archives: News

Post navigation

 
Newer posts →

구글 그룹에 게시판을 만들었습니다.

Posted on August 17, 2020 by joone

만화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이나 의견은 구글 그룹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groups.google.com/u/3/g/fosscomics-kr

Share this:

  • Twitter
  • Facebook
  • Reddit
  • Email
  • Tumblr

Like this:

Like Loading...
Posted in News | Leave a comment

Post navigation

 
Newer posts →

Categories

  • etc
  • F/OSS Story
  • News
  • 뒷 이야기
  • 실리콘 밸리 이야기

이 블로그를 후원하세요!

GitHub Sponsors

Recent Posts

  • 책 “오늘날 우리는 컴퓨터라 부른다” 소개 만화
  • 실리콘 밸리의 시작 1
  • [공지]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이야기를 종료합니다
  • 386BSD 개발한 윌리암 졸리츠(William Jolitiz) 부고 소식
  • 52.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2
  • 51.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1
  • 50. LLVM 프로젝트 (2/2)
  • 49. LLVM 프로젝트 (1/2)
  • 48. X-윈도우와 Wayland
  • 47. GIT
  • quilt 사용하기
  • diff & patch
  • 46. gpl-violations.org
  • 45. 모질라와 오픈웹
  • 44. KHTML
  • 43. 파이어폭스
  • 42. 넷스케이프 브라우저
  • 만화로 나누는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영문 버전 안내
  • 41. 모자익 브라우저의 탄생
  • 40. 월드와이드웹(WWW)의 시작 4
  • 39. 월드와이드웹(WWW)의 시작 3
  • 38. 월드와이드웹(WWW)의 시작 2
  • 37. 월드와이드웹(WWW)의 시작 1
  • 구글 그룹에 게시판을 만들었습니다.
  • 36. 그놈(GNOME) 데스크탑의 시작
  • 35. 오픈소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김프와 GTK+ 시작
  • 34. 오픈소스 GUI 툴킷 Qt와 KDE 프로젝트의 시작
  • 33. 리눅스 배포본과 데비안 프로젝트
  • 32. 리눅스 이야기: 네트워킹
  • 31. 리눅스 이야기: 리눅스 vs. 미닉스 2부
  • 30. 리눅스 이야기: 리눅스 vs. 미닉스 1부
  • 29. 리눅스 이야기: 진정한 자유 운영체제
  • 28. 리눅스 이야기: 운영체제를 만들자!
  • 27. 리눅스 이야기: 나만의 터미널 프로그램
  • 26. 리눅스 이야기: 리누스 토발즈의 어린시절
  • 25. XFree86과 X.Org
  • 24. X11의 탄생
  • 23. X 윈도우 시작
  • 22. GUI 시대의 시작
  • 21.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20. GNU Project
  • 19. 리차드 스톨만과 자유소프트웨어 이야기
  • 18. 386BSD의 탄생
  • 17. 라이온스 교수의 유닉스 해설서
  • 16. BSD 유닉스 6화 – 자유로의 투쟁
  • 15. BSD 유닉스 5 화 – TCP/IP 개발
  • 14. BSD 유닉스 4화 – CSRG(Computer Systems Research Group) 결성
  • 13. BSD 유닉스 3화 – BSD 유닉스 시작
  • 12. BSD 유닉스 2화 – vi 에디터의 탄생
  • 11. BSD 유닉스 1화 – UC 버클리로 간 유닉스 코드
  •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브라이언 커니핸이 소개하는 유닉스
  • 10. C언어의 아버지, 데니스 리치의 일생
  • 9. 유닉스 철학
  • 8. 유닉스와 C언어
  • 7. ITS와 해커 문화
  • 6. 해커문화의 탄생
  • 5. 소프트웨어 공학의 시작
  • 4. 처음에는 어떻게 프로그래밍을 했을까?
  • 3. 상업용 컴퓨터 시대
  • 2. 앨런 튜링과 폰노이만

Archives

  • January 2024
  • July 2023
  • April 2023
  • January 2023
  • October 2022
  • August 2022
  • June 2022
  • May 2022
  • February 2022
  • October 2021
  • May 2021
  • April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August 2020
  • June 2020
  • May 2020
  • July 2019
  • May 2019
  • February 2019
  • Dec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August 2018
  • July 2018
  • June 2018
  • May 2018
  • April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January 2018
  • December 2017
  • August 2017
  • May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Tags

386bsd (1) ABC (2) AOL (1) Apple (1) BSD (6) Clang (2) CSRG (2) DEC (2) emacs (2) Firefox (2) FSF (2) GCC (3) Gecko (1) GNOME (4) GNU (2) GPL (3) GTK+ (2) IE (1) ITS (3) KDE (3) KHTML (1) Linux (5) LLVM (2) minix (2) Mosaic (1) Mozilla (2) Netscape (2) PDP (2) Python (2) QT (4) quilt (1) RMS (4) TCP/IP (2) Unix (6) Web Browser (1) WebKit (1) WWW (2) x-window (2) X11 (2) 귀도 반 로섬 (2) 에이다 러브레이스 (1) 웹 (4) 찰스 배비지 (1) 책 (1) 해커 (2)

Recent Comments

  • NeoZest on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브라이언 커니핸이 소개하는 유닉스
  • joone on 만화 블로그를 다시 시작합니다.
  • joone on [공지]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이야기를 종료합니다
  • Anonymous on 52.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2
  • Anonymous on 만화 블로그를 다시 시작합니다.

이메일로 블로그 구독하기

이 블로그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새글의 알림을 받으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

Join 1,707 other subscribers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Proudly powered by WordPress | Theme: Able by Automattic.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