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리차드 스톨만(이하 RMS)이 GNU 이맥스 편집기를 공개한 후, GNU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png)
이후 자유 소프트웨어를 개발과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1985년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1.png)
FSF는 이맥스 편집기 배포 사업과 메뉴얼 판매등 여러 사업을 진행했고 기부금도 받기 시작했다.
“이번에 기부금으로 유닉스 시스템을 보냈어요. ” “AT&T 유닉스는 독점 소프트웨어인데, 우리가 유닉스에서 자유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야 할까?”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3.png)
“유닉스에서 구현하면 우리가 만든 자유 소프트웨어를 유닉스에서 사용할 수 있잖아요” “하지만, 자유 소프트웨어를 독점 소프트웨어인 유닉스에서 만드는 것은 윤리적인 문제가 있어…”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4.png)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5.png)
“그래, 우리가 폭력에 대해 자기방어가 필요하듯이, 독점 소프트웨어를 막을 대체물을 개발해야한다면 독점 소프트웨어 사용도 정당화할 수 있지. 자, 기증 받은 유닉스 컴퓨터도 개발에 사용합시다.”
GCC 출시 FSF는 기부금과 여러 수익을 바탕으로 개발자를 고용했는데, 이들은 여러 종류의 GNU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만들고 관리했다. GNU 컴파일러 모음(GCC)개발도 다시 진행할 수 있었고, 1987년 3월 첫번째 버전을 출시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6.png)
GNU C 라이브러리와 배시 쉘 개발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7.png)
1988년 당시 15세였던 롤런드 맥 그래스(Roland McGrath)도 FSF에 채용되어 glibc개발을 시작하고[3], 같은해에 첫번째 버전을 릴리스한다. (참고로, 롤런드는 30년간 glibc를 개발했고, 2017년 공식적으로 프로젝트를 떠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8.png)
브라이언 폭스는 AT&T 유닉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본 셸을 대치하기 위해 배시 셸(Bash shell)을 개발했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GNU C 라이브러리와 배시 셸은 리눅스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GNU 프로젝트는 GNU tar, GDB, GNU Make를 개발했다. gzip의 경우 LZW의 특허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한 압축 프로그램이였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9.png)
“LZW 특허 때문에 자유 소프트웨어 진영에 압축 프로그램이 없다니… 자 gzip을 만들자!”
이처럼 RMS는 FSF지원 아래 부족한 자유 소프트웨어를 하나 하나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1990년 마침내 꿈에 그리던 OS 커널 개발에 착수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10.png)
“이제 커널을 개발할 때가 온 것 같다.”
Qt의 자유 소프트웨어 전환 데스크탑 진영에도 자유 소프트웨어 바람이 불었는데, 당시 독점 소프트웨어였던 CDE 데스크탑과 이를 구현한 모티프를 대체할 툴킷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96년 KDE 공동체가 생겨났고, Qt GUI 툴킷을 이용하여 KDE 데스크탑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Qt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었지만 2차 저작을 허용하지 않아 자유 소프트웨어 진영으로 부터 비판을 받았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11.png)
“소스코드가 공개되었다고 모두 자유 소프트웨어는 아니지. 그놈(GNOME) 공동체와 함께 Qt의 자유 소프트웨어 버전을 만들어야겠다.”
Qt 사용을 반대해온 사람들이 그놈 공동체를 만들었고 FSF와 함께 하모니라는 Qt의 자유 소프트웨어 버전을 만들기 시작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12.png)
Qt를 만든 Haavard Nord와 Eirik Chambe-Eng
“그 이야기 들었어? FSF와 GNOME이 하모니라는 Qt 호환 GUI 툴킷을 만든다는 소식” “이런 RMS가 라이선스 문제로 계속 뭐라하더니만”
결국, 2000년 Qt도 GPL 라이선스를 지원하기로 결정한다.
![](https://joone.net/wp-content/uploads/2022/11/null-13.png)
이처럼 RMS는 FSF지원 아래 부족한 자유 소프트웨어를 하나 하나 개발하기 시작하고, 회사들을 압박해서 독점 소프트웨어를 자유 소프트웨어로 만들었다.
참고
- 리차드 스톨만, GNU 운영체제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오픈소스 혁명의 목소리, 한빛출판사, 2013
- History of free and open-source software, Wikipedia
- Roland McGrath steps down as glibc maintainer after 30 years
참고로, 등장 인물 간 대화는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만화 중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만화 원고에 직접 의견을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 외 전반적인 만화 후기는 블로그에 바로 답글로 남겨주세요.